최근 해양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며, 조개류 등 해산물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게 될까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.
섭취를 아예 안 할 수는 없겠지만, 그 양을 최대한 줄일 방법이 없을까?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, 조개류 속살을 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했더니 구부러진 철사 모양의 스티로폼 조각 등 각종 미세 이물질이 발견됐다.
특히 바지락은 100g당 34개의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검출된 만큼, 무턱대고 먹었다간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.
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는 해산물은 조개뿐만이 아니다.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의 미세플라스틱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3년(2017~2019년) 국내 유통 중인 다소비 수산물 14종 66품목을 조사했다.
그 결과, 해산물 14종에서 1g당 평균 0.47개 정도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. 해산물 종류별 검출량은 패류 0.07∼0.86개/g, 두족류 0.03∼0.04개/g, 갑각류 0.05∼0.30개/g, 건조 중멸치 1.03개/g, 천일염 2.22개/g였다.
재질은 주로 폴리프로필렌(PP), 폴리에틸렌(PE), 폴리스티렌(PS)이고, 크기는 20∼200㎛였다.
폴리에틸렌은 비닐봉지, 폴리프로필렌은 병뚜껑, 폴리스티렌은 아이스박스 등에 주로 쓰인다.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인체에 어떤 유해성을 끼치는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. 그러나 나노 단위까지 쪼개져, 세포에 흡수돼 독성을 띨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있으므로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다.
다행히 바지락 등 조개는 해감만 잘해도 내부의 미세플라스틱이 거의 제거된다.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팀이 소화기관(내장)을 함께 살과 함께 먹는 바지락을 소금물에 30분 해감한 결과, 미세플라스틱이 90% 이상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인위적으로 오염시킨 바지락을 소금물에 담가 30분 동안 어두운 곳에 두니 미세플라스틱 수가 468개에서 19~31개로 감소한 것이다.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해양생물의 소화기관에서 발견되므로 내장을 제거하고 섭취할 수 있는 수산물은 내장을 꼭 제거한다.
출처 : https://health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24/04/30/2024043002088.html